발생적 인식론 장 피아제
1896년 8월 9일에 출생한 장 피아제는 스위스의 철학자이자 자연과학자이며 발달심리학자였다. 그는 인지발달이론과 발생적 인식론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인지 발달이론은 어린이의 학습에 대한 연구이고, 발생적 인식론을 자신의 인식론적 관점을 풀어낸 것이다. 1955년, 발생적 인식론 국제 센터를 제네바에 창립했고, 그곳에서 1980년까지 지도적 위치에 있었다.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에 다르면 피아제는 "구성주의 인식론의 위대한 선구자"라고 평가 된다.
생애
피아제는 1896년 스위스에서 태어났고 프랑스어 사용 지역인 뇌샤텔 출신이며, 1980년에 사망했다. 그의 아버지인 아르투어 피아제는 뇌샤텔 대학교의 중세 문학 교수였고, 피아제는 어렸을 때부터 생물학과 자연 세계에 관심이 많았던 조숙한 아이였다. 특히 연체동물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이미 논문들을 출판했다. 사실 그의 과학적 연구는 10살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1907년에 이미 알비노 참새에 대한 소논문을 쓰기도 했었다. 피아제는 일생동안 6060여 권이 넘는 책들과 수백 개의 글들을 집필했다. 피아제는 뇌샤텔 대학교에서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그 후 취리히 대학교에서도 잠깐 공부했는데 이 시기에 그는 두 개의 철학 논문을 냈다. 당시에 대한 피아제 생각의 방향을 알 수 있는 철학 논문이었으나 스스로 미숙한 저작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는 이 시기부터 심리학적인 생각의 갈등이 시작되면서 정신분석학에 대한 관심 역시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피아제는 스위스를 떠나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 아이들을 가르쳤는데 비네 지능 검사를 만든 알프레드 비네가 운영한 남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이때 그는 지능 검사의 몇 가지 실례들을 기록하게 되는데, 피아제는 나이가 적은 어린아이들이 특정 질문에 계속 틀린 답을 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했다. 피아제는 어린이들의 답이 틀렸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고,, 같은 패턴의 실수를 반복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나이 어린 어린이들이 나이 많은 어린이나 어른들이 하지 않는 같은 패턴의 실수를 반복하고 있었던 것이다.
1923년에 그는 결혼을 한다. 자신의 학생이 었던 발렌틴 샤트네와 결혼을 하고, 3명의 아이를 두었다. 1929년에는 제네바의 국제 교육국의 국장에 취임한 이후 4040여 년간 국장의 위치에 있었다.. 매년 "IBE회의"와 "공교육 국제회의"에" 연설을 했고 이를 통해 자신의 교육학적인 신조를 명백히 나타내기도 하였다
과학과 철학적 발달
인지 발달의 단계
피아제는 원래는 인간이 아니라 연체 동물학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였다. 피아제는 제네바 대학교에서 45년 정도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단계별로 나눈 재정립한 인지발달이론으로 유명해졌다. 이전의 이론의 4가지 단계는 1) 유아기 2) 미취학기 3) 아동기 4) 사춘기로 나누었고 각 단계는 어린이의 모든 사고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인식 구조로 그 성격이 나타난다.
피아제의 이론은 네 가지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이 나눈다. 1) 감각 운동기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3) 구체적 조작기 4)4) 형식적 조작기 이렇게 나누는데 피아제는 전체적인 발달 과정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는 않았다.
'심리학 파헤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본주의 심리학의 아버지 칼 로저스 (0) | 2022.04.04 |
---|---|
욕구단계설 에이브러햄 매슬로 (0) | 2022.04.01 |
집단 무의식 카를 융 (0) | 2022.03.30 |
지그문트 프로이트 살펴보기 2 (0) | 2022.03.28 |
지그문트 프로이트 살펴보기 (0) | 2022.03.26 |